2021년 5월 1일

메서드와 this

객체는 사용자(user), 주문(order) 등과 같이 실제 존재하는 개체(entity)를 표현하고자 할 때 생성됩니다.

let user = {
  name: "John",
  age: 30
};

사용자는 현실에서 장바구니에서 물건 선택하기, 로그인하기, 로그아웃하기 등의 행동을 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를 나타내는 객체 user도 특정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선 객체의 프로퍼티에 함수를 할당해 객체에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줍니다.

메서드 만들기

객체 user에게 인사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줍시다.

let user = {
  name: "John",
  age: 30
};

user.sayHi = function() {
  alert("안녕하세요!");
};

user.sayHi(); // 안녕하세요!

함수 표현식으로 함수를 만들고, 객체 프로퍼티 user.sayHi에 함수를 할당해 주었습니다.

이제 객체에 할당된 함수를 호출하면 user가 인사를 해줍니다.

이렇게 객체 프로퍼티에 할당된 함수를 메서드(method) 라고 부릅니다.

위 예시에선 user에 할당된 sayHi가 메서드이죠.

메서드는 아래와 같이 이미 정의된 함수를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습니다.

let user = {
  // ...
};

// 함수 선언
function sayHi() {
  alert("안녕하세요!");
};

// 선언된 함수를 메서드로 등록
user.sayHi = sayHi;

user.sayHi(); // 안녕하세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를 사용하여 개체를 표현하는 방식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이라 부릅니다.

OOP는 그 자체만으로도 학문의 분야를 만드는 중요한 주제입니다. 올바른 개체를 선택하는 방법, 개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방법 등에 관한 의사결정은 객체 지향 설계를 기반으로 이뤄집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관련 추천도서로는 에릭 감마의 ‘GoF의 디자인 패턴’, 그래디 부치의 ‘UML을 활용한 객체지향 분석 설계’ 등이 있습니다.

메서드 단축 구문

객체 리터럴 안에 메서드를 선언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단축 문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아래 두 객체는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user = {
  sayHi: function() {
    alert("Hello");
  }
};

// 단축 구문을 사용하니 더 깔끔해 보이네요.
user = {
  sayHi() { // "sayHi: function()"과 동일합니다.
    alert("Hello");
  }
};

위처럼 function을 생략해도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방법과 단축 구문을 사용한 방법이 완전히 동일하진 않습니다. 객체 상속과 관련된 미묘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지금으로선 이 차이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메서드와 this

메서드는 객체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모든 메서드가 그런 건 아니지만, 대부분의 메서드가 객체 프로퍼티의 값을 활용합니다.

user.sayHi()의 내부 코드에서 객체 user에 저장된 이름(name)을 이용해 인사말을 만드는 경우가 이런 경우에 속합니다.

메서드 내부에서 this 키워드를 사용하면 객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점 앞’의 this는 객체를 나타냅니다. 정확히는 메서드를 호출할 때 사용된 객체를 나타내죠.

예시:

let user = {
  name: "John",
  age: 30,

  sayHi() {
    // 'this'는 '현재 객체'를 나타냅니다.
    alert(this.name);
  }

};

user.sayHi(); // John

user.sayHi()가 실행되는 동안에 thisuser를 나타냅니다.

this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변수를 참조해 객체에 접근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let user = {
  name: "John",
  age: 30,

  sayHi() {
    alert(user.name); // 'this' 대신 'user'를 이용함
  }

};

그런데 이렇게 외부 변수를 사용해 객체를 참조하면 예상치 못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ser를 복사해 다른 변수에 할당(admin = user)하고, user는 전혀 다른 값으로 덮어썼다고 가정해 봅시다. sayHi()는 원치 않는 값(null)을 참조할 겁니다.

예시:

let user = {
  name: "John",
  age: 30,

  sayHi() {
    alert( user.name ); // Error: Cannot read property 'name' of null
  }

};


let admin = user;
user = null; // user를 null로 덮어씁니다.

admin.sayHi(); // sayHi()가 엉뚱한 객체를 참고하면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alert 함수가 user.name 대신 this.name을 인수로 받았다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겁니다.

자유로운 this

자바스크립트의 this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this와 동작 방식이 다릅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선 모든 함수에 thi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도 문법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function sayHi() {
  alert( this.name );
}

this 값은 런타임에 결정됩니다. 컨텍스트에 따라 달라지죠.

동일한 함수라도 다른 객체에서 호출했다면 'this’가 참조하는 값이 달라집니다.

let user = { name: "John" };
let admin = { name: "Admin" };

function sayHi() {
  alert( this.name );
}

// 별개의 객체에서 동일한 함수를 사용함
user.f = sayHi;
admin.f = sayHi;

// 'this'는 '점(.) 앞의' 객체를 참조하기 때문에
// this 값이 달라짐
user.f(); // John  (this == user)
admin.f(); // Admin  (this == admin)

admin['f'](); // Admin (점과 대괄호는 동일하게 동작함)

규칙은 간단합니다. obj.f()를 호출했다면 thisf를 호출하는 동안의 obj입니다. 위 예시에선 objuseradmin을 참조하겠죠.

객체 없이 호출하기: this == undefined

객체가 없어도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sayHi() {
  alert(this);
}

sayHi(); // undefined

위와 같은 코드를 엄격 모드에서 실행하면, thisundefined가 할당됩니다. this.name으로 name에 접근하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하죠.

그런데 엄격 모드가 아닐 때는 this전역 객체를 참조합니다. 브라우저 환경에선 window라는 전역 객체를 참조하죠. 이런 동작 차이는 "use strict"가 도입된 배경이기도 합니다. 전역 객체는 전역 객체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이런 식의 코드는 대개 실수로 작성된 경우가 많습니다. 함수 본문에 this가 사용되었다면, 객체 컨텍스트 내에서 함수를 호출할 것이라고 예상하시면 됩니다.

자유로운 this가 만드는 결과

다른 언어를 사용하다 자바스크립트로 넘어온 개발자는 this를 혼동하기 쉽습니다. this는 항상 메서드가 정의된 객체를 참조할 것이라고 착각하죠. 이런 개념을 'bound this'라고 합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런타임에 결정됩니다. 메서드가 어디서 정의되었는지에 상관없이 this는 ‘점 앞의’ 객체가 무엇인가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됩니다.

이렇게 this가 런타임에 결정되면 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습니다. 함수(메서드)를 하나만 만들어 여러 객체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이런 유연함이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단점입니다.

자바스크립트가 this를 다루는 방식이 좋은지, 나쁜지는 우리가 판단할 문제가 아닙니다. 개발자는 this의 동작 방식을 충분히 이해하고 장점을 취하면서 실수를 피하는 데만 집중하면 됩니다.

this가 없는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는 일반 함수와는 달리 ‘고유한’ this를 가지지 않습니다. 화살표 함수에서 this를 참조하면, 화살표 함수가 아닌 ‘평범한’ 외부 함수에서 this 값을 가져옵니다.

아래 예시에서 함수 arrow()this는 외부 함수 user.sayHi()this가 됩니다.

let user = {
  firstName: "보라",
  sayHi() {
    let arrow = () => alert(this.firstName);
    arrow();
  }
};

user.sayHi(); // 보라

별개의 this가 만들어지는 건 원하지 않고, 외부 컨텍스트에 있는 this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 화살표 함수가 유용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챕터, 화살표 함수 다시 살펴보기에서 다루겠습니다.

요약

  • 객체 프로퍼티에 저장된 함수를 '메서드’라고 부릅니다.
  • object.doSomthing()은 객체를 '행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 메서드는 this로 객체를 참조합니다.

this 값은 런타임에 결정됩니다.

  • 함수를 선언할 때 thi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함수가 호출되기 전까지 this엔 값이 할당되지 않습니다.
  • 함수를 복사해 객체 간 전달할 수 있습니다.
  • 함수를 객체 프로퍼티에 저장해 object.method()같이 ‘메서드’ 형태로 호출하면 thisobject를 참조합니다.

화살표 함수는 자신만의 this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화살표 함수 안에서 this를 사용하면, 외부에서 this 값을 가져옵니다.

과제

중요도: 5

함수 makeUser는 객체를 반환합니다.

이 객체의 ref에 접근하면 어떤 결과가 발생하고, 그 이유는 뭘까요?

function makeUser() {
  return {
    name: "John",
    ref: this
  };
};

let user = makeUser();

alert( user.ref.name ); // 결과가 어떻게 될까요?

에러가 발생합니다.

직접 실행해 봅시다.

function makeUser() {
  return {
    name: "John",
    ref: this
  };
};

let user = makeUser();

alert( user.ref.name ); // Error: Cannot read property 'name' of undefined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this 값을 설정할 땐 객체 정의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this 값은 호출 시점에 결정됩니다.

위 코드에서 makeUser()thisundefined가 됩니다. 메서드로써 호출된 게 아니라 함수로써 호출되었기 때문입니다.

this 값은 전체 함수가 됩니다. 코드 블록과 객체 리터럴은 여기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ref: this는 함수의 현재 this 값을 가져옵니다.

this의 값이 undefined가 되게 함수를 다시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unction makeUser(){
  return this; // 이번엔 객체 리터럴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

alert( makeUser().name ); // Error: Cannot read property 'name' of undefined

보시다시피 alert( makeUser().name )와 위쪽에서 살펴본 alert( user.ref.name )의 결과가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됩니다.

function makeUser() {
  return {
    name: "John",
    ref() {
      return this;
    }
  };
};

let user = makeUser();

alert( user.ref().name ); // John

이렇게 하면 user.ref()가 메서드가 되고 this. 앞의 객체가 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중요도: 5

calculator라는 객체를 만들고 세 메서드를 구현해 봅시다.

  • read()에선 프롬프트 창을 띄우고 더할 값 두 개를 입력받습니다. 입력받은 값은 객체의 프로퍼티에 저장합니다.
  • sum()은 저장된 두 값의 합을 반환합니다.
  • mul()은 저장된 두 값의 곱을 반환합니다.
let calculator = {
  // ... 여기에 답안 작성 ...
};

calculator.read();
alert( calculator.sum() );
alert( calculator.mul() );

데모 실행하기

테스트 코드가 담긴 샌드박스를 열어 정답을 작성해보세요.

let calculator = {
  sum() {
    return this.a + this.b;
  },

  mul() {
    return this.a * this.b;
  },

  read() {
    this.a = +prompt('첫 번째 값:', 0);
    this.b = +prompt('두 번째 값:', 0);
  }
};

calculator.read();
alert( calculator.sum() );
alert( calculator.mul() );

테스트 코드가 담긴 샌드박스를 열어 정답을 확인해보세요.

중요도: 2

올라가기(up)와 내려가기(down) 메서드를 제공하는 객체 ladder가 있습니다.

let ladder = {
  step: 0,
  up() {
    this.step++;
  },
  down() {
    this.step--;
  },
  showStep: function() { // 사다리에서 몇 번째 단에 올라와 있는지 보여줌
    alert( this.step );
  }
};

메서드를 연이어 호출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ladder.up();
ladder.up();
ladder.down();
ladder.showStep(); // 1

up, down, showStep을 수정해 아래처럼 메서드 호출 체이닝이 가능하도록 해봅시다.

ladder.up().up().down().showStep(); // 1

참고로 이런 방식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테스트 코드가 담긴 샌드박스를 열어 정답을 작성해보세요.

메서드를 호출할 때마다 객체 자신을 반환하게 하면 됩니다.

let ladder = {
  step: 0,
  up() {
    this.step++;
    return this;
  },
  down() {
    this.step--;
    return this;
  },
  showStep() {
    alert( this.step );
    return this;
  }
}

ladder.up().up().down().up().down().showStep(); // 1

체이닝이 길어질 땐 메서드 호출을 별도의 줄에 작성하면 가독성이 좋아집니다.

ladder
  .up()
  .up()
  .down()
  .up()
  .down()
  .showStep(); // 1

테스트 코드가 담긴 샌드박스를 열어 정답을 확인해보세요.

튜토리얼 지도

댓글

댓글을 달기 전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나타나는 글을 먼저 읽어주세요.
  • 추가 코멘트, 질문 및 답변을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개선해야 할 것이 있다면 댓글 대신 이슈를 만들어주세요.
  •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구체적으로 언급해주세요.
  • 댓글에 한 줄짜리 코드를 삽입하고 싶다면 <code> 태그를, 여러 줄로 구성된 코드를 삽입하고 싶다면 <pre> 태그를 이용하세요. 10줄 이상의 코드는 plnkr, JSBin, codepen 등의 샌드박스를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