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8일

모듈 내보내고 가져오기

exportimport 지시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이전 챕터에서는 exportimport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아보았는데, 이번 챕터에선 좀 더 다양한 사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선언부 앞에 export 붙이기

변수나 함수, 클래스를 선언할 때 맨 앞에 export를 붙이면 내보내기가 가능합니다.

아래 내보내기는 모두 유효합니다.

// 배열 내보내기
export let months = ['Jan', 'Feb', 'Mar','Apr', 'Aug', 'Sep', 'Oct', 'Nov', 'Dec'];

// 상수 내보내기
export const MODULES_BECAME_STANDARD_YEAR = 2015;

// 클래스 내보내기
export class User {
  constructor(name) {
    this.name = name;
  }
}
클래스나 함수를 내보낼 땐 세미콜론을 붙이지 마세요.

클래스나 함수 선언 시, 선언부 앞에 export를 붙인다고 해서 함수 선언 방식이 함수 선언문에서 함수 표현식(function expression) 으로 바뀌지 않습니다. 내보내 지긴 했지만 여전히 함수 선언문입니다.

대부분의 자바스크립트 스타일 가이드는 함수나 클래스 선언 끝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말라고 권유합니다.

같은 이유로 export classexport function 끝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습니다.

export function sayHi(user) {
  alert(`Hello, ${user}!`);
}  // 끝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습니다.

선언부와 떨어진 곳에 export 붙이기

선언부와 export가 떨어져 있어도 내보내기가 가능합니다.

아래 예시에선 함수를 먼저 선언한 후, 마지막 줄에서 내보냅니다.

// 📁 say.js
function sayHi(user) {
  alert(`Hello, ${user}!`);
}

function sayBye(user) {
  alert(`Bye, ${user}!`);
}

export {sayHi, sayBye}; // 두 함수를 내보냄

참고로 export문을 함수 선언부 위에 적어주는 것도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import *

무언갈 가져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이에 대한 목록을 만들어 import {...}안에 적어주면 됩니다.

// 📁 main.js
import {sayHi, sayBye} from './say.js';

sayHi('John'); // Hello, John!
sayBye('John'); // Bye, John!

가져올 것이 많으면 import * as <obj> 처럼 객체 형태로 원하는 것들을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 main.js
import * as say from './say.js';

say.sayHi('John');
say.sayBye('John');

이렇게 '한꺼번에 모든 걸 가져오는 방식’을 사용하면 코드가 짧아집니다. 그런데도 어떤 걸 가져올 땐 그 대상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하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웹팩(webpack)과 같은 모던 빌드 툴은 로딩 속도를 높이기 위해 모듈들을 한데 모으는 번들링과 최적화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가 삭제되기도 합니다.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에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인 say.js를 도입하였다 가정합시다. 이 라이브러리엔 수 많은 함수가 있습니다.

    // 📁 say.js
    export function sayHi() { ... }
    export function sayBye() { ... }
    export function becomeSilent() { ... }

    현재로선 say.js의 수 많은 함수 중 단 하나만 필요하기 때문에, 이 함수만 가져와 보겠습니다.

    // 📁 main.js
    import {sayHi} from './say.js';

    빌드 툴은 실제 사용되는 함수가 무엇인지 파악해, 그렇지 않은 함수는 최종 번들링 결과물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코드가 제거되기 때문에 빌드 결과물의 크기가 작아집니다. 이런 최적화 과정은 '가지치기(tree-shaking)'라고 불립니다.

  2. 어떤 걸 가지고 올지 명시하면 이름을 간결하게 써줄 수 있습니다. say.sayHi()보다 sayHi()가 더 간결하네요.

  3. 어디서 어떤 게 쓰이는지 명확하기 때문에 코드 구조를 파악하기가 쉬워 리팩토링이나 유지보수에 도움이 됩니다.

import ‘as’

as를 사용하면 이름을 바꿔서 모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sayHihi로, sayByebye로 이름을 바꿔서 가져와 봅시다.

// 📁 main.js
import {sayHi as hi, sayBye as bye} from './say.js';

hi('John'); // Hello, John!
bye('John'); // Bye, John!

Export ‘as’

export에도 a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ayHisayBye를 각각 hibye로 이름을 바꿔 내보내 봅시다.

// 📁 say.js
...
export {sayHi as hi, sayBye as bye};

이제 다른 모듈에서 이 함수들을 가져올 때 이름은 hibye가 됩니다.

// 📁 main.js
import * as say from './say.js';

say.hi('John'); // Hello, John!
say.bye('John'); // Bye, John!

export default

모듈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1. 복수의 함수가 있는 라이브러리 형태의 모듈(위 예시의 say.js)
  2. 개체 하나만 선언되어있는 모듈(아래의 user.js. class User 하나만 내보내기 함)

대개는 두 번째 방식으로 모듈을 만드는 걸 선호하기 때문에 함수, 클래스, 변수 등의 개체는 전용 모듈 안에 구현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모듈을 만들다 보면 자연스레 파일 개수가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더라도 모듈 이름을 잘 지어주고, 폴더에 파일을 잘 나눠 프로젝트를 구성하면 코드 탐색이 어렵지 않으므로 이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모듈은 export default라는 특별한 문법을 지원합니다. export default를 사용하면 '해당 모듈엔 개체가 하나만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

내보내고자 하는 개체 앞에 export default를 붙여봅시다.

// 📁 user.js
export default class User { // export 옆에 'default'를 추가해보았습니다.
  constructor(name) {
    this.name = name;
  }
}

파일 하나엔 대개 export default가 하나만 있습니다.

이렇게 default를 붙여서 모듈을 내보내면 중괄호 {} 없이 모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 main.js
import User from './user.js'; // {User}가 아닌 User로 클래스를 가져왔습니다.

new User('John');

중괄호 없이 클래스를 가져오니 더 깔끔해 보이네요. 모듈을 막 배우기 시작한 사람은 중괄호를 빼먹는 실수를 자주 합니다. named export 한 모듈을 가져오려면 중괄호가 필요하고, default export 한 모듈을 가져오려면 중괄호가 필요하지 않다는 걸 기억해 실수를 방지합시다.

named export default export
export class User {...} export default class User {...}
import {User} from ... import User from ...

사실 named export와 default export를 같은 모듈에서 동시에 사용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그런데 실무에선 이렇게 섞어 쓰는 사례가 흔치 않습니다. 한 파일엔 named export나 default export 둘 중 하나만 사용합니다.

파일당 최대 하나의 default export가 있을 수 있으므로 내보낼 개체엔 이름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아래 예시의 개체엔 이름이 없지만 모두 에러 없이 잘 동작합니다.

export default class { // 클래스 이름이 없음
  constructor() { ... }
}
export default function(user) { // 함수 이름이 없음
  alert(`Hello, ${user}!`);
}
// 이름 없이 배열 형태의 값을 내보냄
export default ['Jan', 'Feb', 'Mar','Apr', 'Aug', 'Sep', 'Oct', 'Nov', 'Dec'];

export default는 파일당 하나만 있으므로 이 개체를 가져오기 하려는 모듈에선 중괄호 없이도 어떤 개체를 가지고 올지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이름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default를 붙이지 않았다면 개체에 이름이 없는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export class { // 에러! (default export가 아닌 경우엔 이름이 꼭 필요합니다.)
  constructor() {}
}

‘default’ name

default 키워드는 기본 내보내기를 참조하는 용도로 종종 사용됩니다.

함수를 내보낼 때 아래와 같이 함수 선언부와 떨어진 곳에서 default 키워드를 사용하면, 해당 함수를 기본 내보내기 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sayHi(user) {
  alert(`Hello, ${user}!`);
}

// 함수 선언부 앞에 'export default'를 붙여준 것과 동일합니다.
export {sayHi as default};

흔치 않지만 user.js라는 모듈에 ‘default’ export 하나와 다수의 named export가 있다고 해봅시다.

// 📁 user.js
export default class User {
  constructor(name) {
    this.name = name;
  }
}

export function sayHi(user) {
  alert(`Hello, ${user}!`);
}

아래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default export와 named export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 📁 main.js
import {default as User, sayHi} from './user.js';

new User('John');

* 를 사용해 모든 것을 객체 형태로 가져오는 방법도 있는데, 이 경우엔 default 프로퍼티는 정확히 default export를 가리킵니다.

// 📁 main.js
import * as user from './user.js';

let User = user.default; // default export
new User('John');

default export의 이름에 관한 규칙

named export는 내보냈을 때 사용한 이름 그대로 가져오므로 관련 정보를 파악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이 내보내기 할 때 쓴 이름과 가져오기 할 때 쓸 이름이 동일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죠.

import {User} from './user.js';
// import {MyUser}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User}이어야 합니다.

named export와는 다르게 default export는 가져오기 할 때 개발자가 원하는 대로 이름을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import User from './user.js'; // 동작
import MyUser from './user.js'; // 동작
// 어떤 이름이든 에러 없이 동작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자유롭게 이름을 짓다 보면 같은 걸 가져오는데도 이름이 달라 혼란의 여지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예방하고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default export 한 것을 가져올 땐 아래와 같이 파일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도록 팀원끼리 내부 규칙을 정할 수 있습니다.

import User from './user.js';
import LoginForm from './loginForm.js';
import func from '/path/to/func.js';
...

그런데 규칙이 있어도 이를 지키지 않는 사람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떤 팀은 named export만 사용할 것을 강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듈 하나에서 단 하나의 개체만 내보내는 경우에도 default 없이 이름을 붙여 내보내면 혼란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규칙은 아래에서 배울 모듈 다시 내보내기를 쉽게 해준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모듈 다시 내보내기

export ... from ... 문법을 사용하면 가져온 개체를 즉시 ‘다시 내보내기(re-export)’ 할 수 있습니다. 이름을 바꿔서 다시 내보낼 수 있는 것이죠. 예시를 살펴봅시다.

export {sayHi} from './say.js'; // sayHi를 다시 내보내기 함

export {default as User} from './user.js'; // default export를 다시 내보내기 함

다시 내보내기가 왜 필요한건지 의문이 드실 겁니다. 유스 케이스를 통해 다시 내보내기가 실무에서 언제 사용되는지 알아봅시다.

NPM을 통해 외부에 공개할 '패키지(package)'를 만들고 있다고 가정합시다. 이 패키지는 수많은 모듈로 구성되어있는데, 몇몇 모듈은 외부에 공개할 기능을, 몇몇 모듈은 이러한 모듈을 도와주는 ‘헬퍼’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합시다.

패키지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auth/
    index.js
    user.js
    helpers.js
    tests/
        login.js
    providers/
        github.js
        facebook.js
        ...

진입점 역할을 하는 '주요 파일’인 auth/index.js을 통해 기능을 외부에 노출시키면 이 패키지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아래와 같은 코드로 해당 기능을 사용할 겁니다.

import {login, logout} from 'auth/index.js'

이때 우리가 만든 패키지를 사용하는 외부 개발자가 패키지 안의 파일들을 뒤져 내부 구조를 건드리게 하면 안 됩니다. 그러려면 공개할 것만 auth/index.js에 넣어 내보내기 하고 나머지는 숨기는 게 좋겠죠.

이때 내보낼 기능을 패키지 전반에 분산하여 구현한 후, auth/index.js에서 이 기능들을 가져오고 이를 다시 내보내면 원하는 바를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습니다.

// 📁 auth/index.js

// login과 logout을 가지고 온 후 바로 내보냅니다.
import {login, logout} from './helpers.js';
export {login, logout};

// User를 가져온 후 바로 내보냅니다.
import User from './user.js';
export {User};
...

이제 외부 개발자들은 import {login} from "auth/index.js"로 우리가 만든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xport ... from ...는 위와 같이 개체를 가지고 온 후 바로 내보낼 때 쓸 수 있는 문법입니다. 아래 예시는 위 예시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 📁 auth/index.js
// login과 logout을 가지고 온 후 바로 내보냅니다.
export {login, logout} from './helpers.js';

// User 가져온 후 바로 내보냅니다.
export {default as User} from './user.js';
...

default export 다시 내보내기

기본 내보내기를 다시 내보낼 때는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user.js 내의 클래스 User를 다시 내보내기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 📁 user.js
export default class User {
  // ...
}
  1. Userexport User from './user.js'로 다시 내보내기 할 때 문법 에러가 발생합니다. 어디가 잘못된 걸까요?

    default export를 다시 내보내려면 위 예시처럼 export {default as User}를 사용해야 합니다.

  2. export * from './user.js'를 사용해 모든 걸 한 번에 다시 내보내면 default export는 무시되고, named export만 다시 내보내집니다.

    두 가지를 동시에 다시 내보내고 싶다면 두 문을 동시에 사용해야 합니다.

    export * from './user.js'; // named export를 다시 내보내기
    export {default} from './user.js'; // default export를 다시 내보내기

default export를 다시 내보낼 땐 이런 특이한 상황도 인지하고 있다가 처리해줘야 하므로 몇몇 개발자들은 default export를 다시 내보내는것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요약

지금까지 배운 export 타입을 다시 한번 살펴봅시다.

아래 타입들을 쭉 보고 얼마나 기억하는지 체크해 보세요.

  • 클래스, 함수 등의 선언부 앞에 export 붙여서 내보내기:
    • export [default] class/function/variable ...
  • 이름 없는 개체 내보내기:
    • export {x [as y], ...}.
  • 다시 내보내기:
    • export {x [as y], ...} from "module"
    • export * from "module" (default export는 다시 내보내 지지 않음)
    • export {default [as y]} from "module" (default export를 다시 내보냄)

가져오기 타입 역시 정리해 봅시다.

  • named export 가져오기:
    • import {x [as y], ...} from "mod"
  • default export 가져오기:
    • import x from "mod"
    • import {default as x} from "mod"
  • 한 번에 가져오기:
    • import * as obj from "mod"
  • 모듈을 가져오긴 하지만(코드는 실행됨), 변수에 할당하지 않기:
    • import "mod"

import/export 문은 스크립트의 맨 위나 맨 아래에 올 수 있는데 이 둘엔 차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아래 스크립트는 문제없이 잘 동작합니다.

sayHi();

// ...

import {sayHi} from './say.js'; // import 문을 파일 맨 아래에 위치시킴

대개는 편의상 스크립트 맨 위에 import 문을 위치시킵니다.

import/export 문은 블록 {...}안에선 동작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조건을 충족하면 모듈을 가져오려는 의도로 작성된 아래 코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if (something) {
  import {sayHi} from "./say.js"; // 에러: import 문은 최상위 레벨에 위치해야 합니다.
}

그런데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다 보면 조건에 따라 모듈을 가져와야 하거나 어떤 특정 시점에 모듈을 불러와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땐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까요? 요청이 있을 때만 모듈을 불러오는 게 가능할까요?

동적으로 모듈을 가져오는 방법(dynamic import)은 다음 챕터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튜토리얼 지도

댓글

댓글을 달기 전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나타나는 글을 먼저 읽어주세요.
  • 추가 코멘트, 질문 및 답변을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개선해야 할 것이 있다면 댓글 대신 이슈를 만들어주세요.
  •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구체적으로 언급해주세요.
  • 댓글에 한 줄짜리 코드를 삽입하고 싶다면 <code> 태그를, 여러 줄로 구성된 코드를 삽입하고 싶다면 <pre> 태그를 이용하세요. 10줄 이상의 코드는 plnkr, JSBin, codepen 등의 샌드박스를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