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 1일

버블링과 캡처링

먼저 예시부터 살펴봅시다.

아래 핸들러는 <div>에 할당되어 있지만, <em> 이나 <code>같은 중첩 태그를 클릭해도 동작합니다.

<div onclick="alert('div에 할당한 핸들러!')">
  <em><code>EM</code>을 클릭했는데도 <code>DIV</code>에 할당한 핸들러가 동작합니다.</em>
</div>

이상하지 않나요? <em>을 클릭했는데 왜 <div>에 할당한 핸들러가 동작하는 걸까요?

버블링

버블링(bubbling)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한 요소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요소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하고, 이어서 부모 요소의 핸들러가 동작합니다. 가장 최상단의 조상 요소를 만날 때까지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요소 각각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합니다.

3개의 요소가 FORM > DIV > P 형태로 중첩된 구조를 살펴봅시다. 요소 각각에 핸들러가 할당되어 있습니다.

<style>
  body * {
    margin: 10px;
    border: 1px solid blue;
  }
</style>

<form onclick="alert('form')">FORM
  <div onclick="alert('div')">DIV
    <p onclick="alert('p')">P</p>
  </div>
</form>

가장 안쪽의 <p>를 클릭하면 순서대로 다음과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1. <p>에 할당된 onclick 핸들러가 동작합니다.
  2. 바깥의 <div>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합니다.
  3. 그 바깥의 <form>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합니다.
  4. document 객체를 만날 때까지, 각 요소에 할당된 onclick 핸들러가 동작합니다.

이런 동작 방식 때문에 <p> 요소를 클릭하면 pdivform 순서로 3개의 얼럿 창이 뜨는것이죠.

이런 흐름을 '이벤트 버블링’이라고 부릅니다. 이벤트가 제일 깊은 곳에 있는 요소에서 시작해 부모 요소를 거슬러 올라가며 발생하는 모양이 마치 물속 거품(bubble)과 닮았기 때문입니다.

거의 모든 이벤트는 버블링 됩니다.

키워드는 ‘거의’ 입니다.

focus 이벤트와 같이 버블링 되지 않는 이벤트도 있습니다. 버블링 되지 않는 이벤트의 종류에 대해선 조금 후에 알아보겠습니다. 몇몇 이벤트를 제외하곤 대부분의 이벤트는 버블링 됩니다.

event.target

부모 요소의 핸들러는 이벤트가 정확히 어디서 발생했는지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벤트가 발생한 가장 안쪽의 요소는 타깃(target) 요소라고 불리고, event.target을 사용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event.targetthis(=event.currentTarget)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 event.target은 실제 이벤트가 시작된 ‘타깃’ 요소입니다. 버블링이 진행되어도 변하지 않습니다.
  • this는 ‘현재’ 요소로, 현재 실행 중인 핸들러가 할당된 요소를 참조합니다.

예시를 살펴봅시다. 핸들러는 form.onclick 하나밖에 없지만 이 핸들러에서 폼 안의 모든 요소에서 발생하는 클릭 이벤트를 ‘잡아내고(catch)’ 있습니다. 클릭 이벤트가 어디서 발생했든 상관없이 <form> 요소까지 이벤트가 버블링 되어 핸들러를 실행시키기 때문입니다.

form.onclick 핸들러 내의 thisevent.target은 다음과 같습니다.

  • this(event.currentTarget) – <form> 요소에 있는 핸들러가 동작했기 때문에 <form> 요소를 가리킵니다.
  • event.target – 폼 안쪽에 실제 클릭한 요소를 가리킵니다.

직접 확인해 봅시다.

결과
script.js
example.css
index.html
form.onclick = function(event) {
  event.target.style.backgroundColor = 'yellow';

  // chrome needs some time to paint yellow
  setTimeout(() => {
    alert("target = " + event.target.tagName + ", this=" + this.tagName);
    event.target.style.backgroundColor = ''
  }, 0);
};
form {
  background-color: green;
  position: relative;
  width: 150px;
  height: 150px;
  text-align: center;
  cursor: pointer;
}

div {
  background-color: blue;
  position: absolute;
  top: 25px;
  left: 25px;
  width: 100px;
  height: 100px;
}

p {
  background-color: red;
  position: absolute;
  top: 25px;
  left: 25px;
  width: 50px;
  height: 50px;
  line-height: 50px;
  margin: 0;
}

body {
  line-height: 25px;
  font-size: 16px;
}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link rel="stylesheet" href="example.css">
</head>

<body>
  클릭하면 <code>event.target</code>과 <code>this</code>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form id="form">FORM
    <div>DIV
      <p>P</p>
    </div>
  </form>

  <script src="script.js"></script>
</body>
</html>

<form> 요소를 정확히 클릭했을 때는 event.targetthis가 같습니다.

버블링 중단하기

이벤트 버블링은 타깃 이벤트에서 시작해서 <html> 요소를 거쳐 document 객체를 만날 때까지 각 노드에서 모두 발생합니다. 몇몇 이벤트는 window 객체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도 합니다. 이 때도 모든 핸들러가 호출됩니다.

그런데 핸들러에게 이벤트를 완전히 처리하고 난 후 버블링을 중단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습니다.

이벤트 객체의 메서드인 event.stopPropagation()를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 예시에서 <button>을 클릭해도 body.onclick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body onclick="alert(`버블링은 여기까지 도달하지 못합니다.`)">
  <button onclick="event.stopPropagation()">클릭해 주세요.</button>
</body>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

한 요소의 특정 이벤트를 처리하는 핸들러가 여러개인 상황에서, 핸들러 중 하나가 버블링을 멈추더라도 나머지 핸들러는 여전히 동작합니다.

event.stopPropagation()은 위쪽으로 일어나는 버블링은 막아주지만, 다른 핸들러들이 동작하는 건 막지 못합니다.

버블링을 멈추고, 요소에 할당된 다른 핸들러의 동작도 막으려면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요소에 할당된 특정 이벤트를 처리하는 핸들러 모두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곤 버블링을 막지 마세요!

버블링은 유용합니다. 버블링을 꼭 멈춰야 하는 명백한 상황이 아니라면 버블링을 막지 마세요. 아키텍처를 잘 고려해 진짜 막아야 하는 상황에서만 버블링을 막으세요.

event.stopPropagation()은 추후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할만한 시나리오를 살펴봅시다.

  1. 중첩 메뉴를 만들었다 가정합시다. 각 서브메뉴(submenu)에 해당하는 요소에서 클릭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고, 상위 메뉴의 클릭 이벤트 핸들러는 동작하지 않도록 stopPropagation을 적용합니다.
  2. 사람들이 페이지에서 어디를 클릭했는지 등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window내에서 발생하는 클릭 이벤트 전부를 감지하기로 결정합니다. 일부 분석 시스템은 그렇게 분석합니다. 이런 분석 시스템의 코드는 클릭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document.addEventListener('click'…)을 사용합니다.
  3. stopPropagation로 버블링을 막아놓은 영역에선 분석 시스템의 코드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안타깝게도 stopPropagation을 사용한 영역은 '죽은 영역(dead zone)'이 되어버립니다.

이벤트 버블링을 막아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버블링을 막아야 해결되는 문제라면 커스텀 이벤트 등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이벤트 사용 방법은 추후에 다루겠습니다. 핸들러의 event 객체에 데이터를 저장해 다른 핸들러에서 읽을 수 있게 하면, 아래쪽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부모 요소의 핸들러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으로도 이벤트 버블링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캡처링

이벤트엔 버블링 이외에도 ‘캡처링(capturing)’ 이라는 흐름이 존재합니다. 실제 코드에서 자주 쓰이진 않지만, 종종 유용한 경우가 있으므로 알아봅시다.

표준 DOM 이벤트에서 정의한 이벤트 흐름엔 3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1. 캡처링 단계 – 이벤트가 하위 요소로 전파되는 단계
  2. 타깃 단계 – 이벤트가 실제 타깃 요소에 전달되는 단계
  3. 버블링 단계 – 이벤트가 상위 요소로 전파되는 단계

테이블 안의 <td>를 클릭하면 어떻게 이벤트가 흐르는지 아래 그림을 보고 이해해 봅시다.

<td>를 클릭하면 이벤트가 최상위 조상에서 시작해 아래로 전파되고(캡처링 단계), 이벤트가 타깃 요소에 도착해 실행된 후(타깃 단계), 다시 위로 전파됩니다(버블링 단계). 이런 과정을 통해 요소에 할당된 이벤트 핸들러가 호출됩니다.

캡처링 단계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이전까진 주로 버블링만 설명했습니다. 캡처링에 관한 코드를 발견하는 일은 거의 없을 겁니다.

on<event> 프로퍼티나 HTML 속성, addEventListener(event, handler)를 이용해 할당된 핸들러는 캡처링에 대해 전혀 알 수 없습니다. 이 핸들러들은 두 번째 혹은 세 번째 단계의 이벤트 흐름(타깃 단계와 버블링 단계)에서만 동작합니다.

캡처링 단계에서 이벤트를 잡아내려면 addEventListenercapture 옵션을 true로 설정해야 합니다.

elem.addEventListener(..., {capture: true})
// 아니면, 아래 같이 {capture: true} 대신, true를 써줘도 됩니다.
elem.addEventListener(..., true)

capture 옵션은 두 가지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 false이면(default 값) 핸들러는 버블링 단계에서 동작합니다.
  • true이면 핸들러는 캡처링 단계에서 동작합니다.

공식적으론 총 3개의 이벤트 흐름이 있지만, 이벤트가 실제 타깃 요소에 전달되는 단계인 ‘타깃 단계’(두 번째 단계)는 별도로 처리되지 않습니다. 캡처링과 버블링 단계의 핸들러는 타깃 단계에서 트리거됩니다.

아래 예시를 통해 캡처링과 버블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합시다.

<style>
  body * {
    margin: 10px;
    border: 1px solid blue;
  }
</style>

<form>FORM
  <div>DIV
    <p>P</p>
  </div>
</form>

<script>
  for(let elem of document.querySelectorAll('*')) {
    elem.addEventListener("click", e => alert(`캡쳐링: ${elem.tagName}`), true);
    elem.addEventListener("click", e => alert(`버블링: ${elem.tagName}`));
  }
</script>

이 예시는 문서 내 요소 '전체’에 핸들러를 할당해서 어떤 핸들러가 동작하는지를 보여줍니다.

<p>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벤트가 전달됩니다.

  1. HTMLBODYFORMDIV (캡처링 단계, 첫 번째 리스너)
  2. P (타깃 단계, 캡쳐링과 버블링 둘 다에 리스너를 설정했기 때문에 두 번 호출됩니다.)
  3. DIVFORMBODYHTML (버블링 단계, 두 번째 리스너)

event.eventPhase 프로퍼티를 이용하면 현재 발생 중인 이벤트 흐름의 단계를 알 수 있습니다. 반환되는 정숫값에 따라 이벤트 흐름의 현재 실행 단계를 구분할 수 있죠. 하지만 핸들러를 통해 흐름 단계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 프로퍼티는 자주 사용되지 않습니다.

핸들러를 제거할 때 removeEventListener가 같은 단계에 있어야 합니다.

addEventListener(..., true)로 핸들러를 할당해 줬다면, 핸들러를 지울 때, removeEventListener(..., true)를 사용해 지워야 합니다. 같은 단계에 있어야 핸들러가 지워집니다.

같은 요소와 같은 단계에 설정한 리스너는 설정한 순서대로 동작합니다.

특정 요소에 addEventListener를 사용해 한 단계에 이벤트 핸들러를 여러개 설정했다면 이 핸들러들은 설정한 순서대로 동작합니다.

elem.addEventListener("click", e => alert(1)); // 첫 번째로 트리거됩니다.
elem.addEventListener("click", e => alert(2));

요약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한 가장 안쪽 요소가 '타깃 요소(event.target)'가 됩니다.

  • 이벤트는 document에서 시작해 DOM 트리를 따라 event.target까지 내려갑니다. 이벤트는 트리를 따라 내려가면서 addEventListener(..., true)로 할당한 핸들러를 동작시킵니다. addEventListener(..., true)true{capture: true}의 축약형입니다.
  • 이후 타깃 요소에 설정된 핸들러가 호출됩니다.
  • 이후엔 이벤트가 event.target부터 시작해서 다시 최상위 노드까지 전달되면서 각 요소에 on<event>로 할당한 핸들러와 addEventListener로 할당한 핸들러를 동작시킵니다. addEventListener로 할당한 핸들러 중, 세 번째 인수가 없거나 false, {capture: false}인 핸들러만 호출됩니다.

각 핸들러는 아래와 같은 event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event.target – 이벤트가 발생한 가장 안쪽의 요소
  • event.currentTarget (=this) – 이벤트를 핸들링 하는 현재 요소 (핸들러가 실제 할당된 요소)
  • event.eventPhase – 현재 이벤트 흐름 단계(캡처링=1, 타깃=2, 버블링=3)

핸들러에서 event.stopPropagation()을 사용해 이벤트 버블링을 멈출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상위 요소에서 이벤트가 어떻게 쓰일지 확실치 않더라도, 추후에 버블링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캡처링 단계는 거의 쓰이지 않고, 주로 버블링 단계의 이벤트만 다뤄집니다. 이렇게 된 데는 논리적 배경이 있습니다.

현실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지역 경찰이 먼저 사고를 조사합니다. 그 지역에 대해 가장 잘 아는 기관은 지역 경찰이기 때문입니다.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면 그 이후에 상위 기관이 사건을 넘겨받습니다.

이벤트 핸들러도 이와 같은 논리로 만들어졌습니다. 특정 요소에 할당된 핸들러는 그 요소에 대한 자세한 사항과 무슨 일을 해야 할지 가장 잘 알고 있습니다. <td>에 할당된 핸들러는 <td>에 대한 모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td>를 다루는데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td>를 다룰 기회를 이 요소에 할당된 핸들러에게 가장 먼저 주는 것입니다.

버블링과 캡처링은 '이벤트 위임(event delegation)'의 토대가 됩니다. 이벤트 위임은 강력한 이벤트 핸들링 패턴입니다. 다음 챕터에서 이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튜토리얼 지도

댓글

댓글을 달기 전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나타나는 글을 먼저 읽어주세요.
  • 추가 코멘트, 질문 및 답변을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개선해야 할 것이 있다면 댓글 대신 이슈를 만들어주세요.
  •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구체적으로 언급해주세요.
  • 댓글에 한 줄짜리 코드를 삽입하고 싶다면 <code> 태그를, 여러 줄로 구성된 코드를 삽입하고 싶다면 <pre> 태그를 이용하세요. 10줄 이상의 코드는 plnkr, JSBin, codepen 등의 샌드박스를 사용하세요.